본문 바로가기

인간발달이론

사회심리학적 인간발달이론 -프로이드 정신성적 발달이론

 프로이드(1856~1939)

(1) 프로이드의 정신성적 발달이론

 

 프로이드(1856~1939)는 체코슬로바키아에서 40세의 아버지와 20세의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나 아버지의 사업실패로 4세때 비엔나로 이사하였으며, 오스트리아의 정신과 의사, 철학자, 정신분석학파의 창시자가 되었다. 법대생이었던 그는 다윈이 [종의 기원]과 괴테의 [자연]에 영향을 받아 의대에 진학하여 1885년 당시 유럽에서 가장 유명한 신경학자 장 마르탱 샤르코 밑에서 히스테리와 최면술을 전공하게 되었으며, 이는 정신분석학을 창안하는 중요한 동기가 되었다. 그의 정신 분석학에서는 최면술 대신 자유 연상과 꿈의 분석을 중요시 하였고 이를 통해 인간의 행동에 영향을 주는 무의식을 탐구했다. 프로이드는 성 본능을 가장 중요한 본능으로 여겨 쾌락을 추구하는 신체 부위와 성적 태도의 변화에 따라 성격 발달을 설명하였다. 즉, 그는 인간의 발달 단계를 성적 리비도가 이동하는 신체부위나 방법에 따라 구강기, 항문기, 남근기, 잠복기, 생식기로 구분한 것이다. 프로이드는 나치의 독일 집권 하에서 반유대주의 감정에 의한 탄압을 피해 1938년 영국 런던으로 망명하였으며 지족한 애연가로서 구강암으로 투병하던 중 1939년 8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1) 구강기 (0~18개월)

  개인의 일반적인 성적 에너지를 뜻하는 리비도가 입술, 혀, 입 주변 기관에 집중된다. 구강기에 스스로 자기 손을 빨면서 만족하는 자기애가 나타나며 자신이 전지전능한 것처럼 느끼는 현상도 있다. 영아는 빨고, 깨물고 뱉고, 우는 행동으로 긴장을 완화시킨다. 이 시기를 적절히 잘 지내면 자신감과 관대함이 생기고 남에게 의존하지 않고 타인을 신뢰하며 주고받을 줄 알고 사고적이고 수다스러우며 새로운 지식을 잘 받아들이는 긍정적인 성격이 형성된다.  

 

 2) 항문기(18개월~ 3세) 

  항문 부위가 성적 관심의 초점이 되는 시기이다. 대소변을 조절하는 데서 쾌감을 느끼며 대소변을 자기 마음대로 배설하려고 하나 부모가 통제를 하므로 부모에 대한 미움과 사랑이 공존하는 양가감정으로 갈등한다. 이시기에는 운동기술과 질서감이 발달하고 여러가지 감각이 세련되며 손재주가 많이 발달한다. 

 

  3) 남근기(3~6세)

   남근기 혹은 오이디푸스기는 사춘기처럼 성호르몬의 변화는 없으나 남녀 모두 성기에 관심이 집중되어 남년의 성 차이를 깨닫고 성에 호기심을 갖게 되는 시기이다.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잉성의 부모에 대한 성적 추구와 동성부모에 대한 적대감으로 이루어지며 사내아이가 어머니에 대해 갖는 무의식적인 사모의 정이다. 어머니를 연인으로 생각하고 아버지를 경쟁자로 인식하며 여자 형제 들이 성기가 없는 것을 보고 자기 성기가 떨어 질지도 모른다는 거세 공포가 생긴다. 남자아이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결국 이기지 못할 것을 알고 자기도 아버지처럼 되려는 동일화 기전에 의해 아버지를 모델로 삼아 닮으려고 노력하게 됨으로써 해결된다. 반면 여자아이들은 남자와 해부학적으로 차이가 나는 것에 대해 성기를 절달 당한 것이 아닌가 하는 열등의삭과 시기 질투가 생기고 가슴이 없는 것에 대한 불안의 원인을 엄마에게 돌리며 일시적으로 아버지를 더 좋아하게 되다가 어머니에 대한 동일화 기전에 의해 엘렉트라 콤플렉스 갈등이 해결된다. 

 

  4) 잠복기(7~12세)

   잠복기는 특별히 새로운 갈등이나 충동이 나타나지 않고 성적 흥미가 일시적으로 잠복되어 생리적으로 노출되지 않는 시기이다. 지적인 능력이 발달하고 학교 생활이 시작되면서 집단 활동에 관심이 집중되며 교육과 경험을 통해 자아이 발전이 촉진된다. 이시기를 사회화 시기라고도 하며 또래와의 집단형성이 두드러진다. 이 시기를 잘 지내면 학업이나 대인관계 등에서의 자신감이 높아지고 사회 적응 능력이나 집단 생활에 유능하고 적응적인 인격이 형성된다.

 

  5) 성기기(청소년기, 여자 11세~남자 13세)

   성기기는 2차 성징이 나타나기 시작하고 성기가 남녀 간 성생활의 도구로 이해되는 시기로서 오이디푸스 갈등이 재출현하기도 한다. 부모로부터 독립하여 주체성을 확립하고 성숙한 이성 관계를 형성하여 성인으로서 부과된 역할을 맡아 수행하는 시기이다. 성적 충동이 증가하에 되는데 이에 대한 부모의 반응이 중요하며 평소에 부모와의 관계과 좋으면 부모를 모델로 삼고 잘 이겨나가게 된다.  이 시기의 갈등은 모순이 많으며 부모로부터 독립과 의존 사이의 갈등이 잇고 집단생활에서 정열적으로 협력하다가도 고독감에  심하게 집착하고 지난친 복종이나 무조건적인 반항 등 변동이 심하다.